OAK

가상환경을 이용한 행위화가 기억인출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Enactment on Memory Retrieval in Virtual Environment
Abstract
본 연구는 가상환경을 이용한 행위화(enactment)가 기억 인출 및 인출에 대한 확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행위화 변수를 조작하기 위해 가상환경을 이용해 행위화가 가능한 부호화 조건과 행위화가 가능하지 않은 비디오 및 텍스트 기반의 부호화 조건이 실험에 사용되었다. 실험 참여자들은 세 가지 양식의 부호화 양식에 따라 학습을 한 후 자유 회상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일주일 후 실험실에 다시 방문하여 기습 재인 검사(surprise recognition test)와 함께 본인이 인출한 답에 대한 확신 정도 설문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텍스트 기반의 부호화 양식이 타 양식보다 회상 검사 결과가 좋았다. 하지만 학습 후 일주일의 시간이 지난 뒤에 실시한 기습 재인 검사의 결과는 모든 부호화 수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확신 정도의 경우, 텍스트 기반의 부호화 조건이 다른 두 부호화 조건에 비해 높은 확신정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텍스트 기반 부호화가 초기 기억 측면에서 우세하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학습 후 2주 정도의 시간이 지날 경우 텍스트 기반의 부호화가 타 양식의 부호화에 비해 메타기억의 부정확성이 큼을 나타낸다.
Author(s)
Cha, BaekdongBae, YoosungRyu, JehaChoi, Wonil
Issued Date
2019-12
Type
Article
DOI
10.37727/jkdas.2019.21.6.3195
URI
https://scholar.gist.ac.kr/handle/local/8810
Publisher
한국자료분석학회
C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21, no.6, pp.3195 - 3206
ISSN
1229-2354
Appears in Collections:
Schoo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1. Journal Article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