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흐름에 따른 정서 편향의 변화: 반응시간과 표류 확산 모델을 활용한 분석
- Author(s)
- Tae, Jini; Choi, Wonil
- Type
- Article
- Citatio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27, no.3, pp.997 - 1015
- Issued Date
- 2025-06
- Abstract
- 본 연구는 비임상 집단을 대상으로 정서 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을 탐색하고, 정서 자극의 유형과 제시 시간(SOA: 100, 300, 500 밀리초)에 따른 편향 양상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정서 자극(실험 1: 정서 얼굴, 실험 2: 정서 단어)을 사용한 탐침 탐사 과제를 실시하고, 반응시간 및 정확률 분석과 함께 표류 확산 모델(Drift Diffusion Model, DDM)을 적용하였다. 실험 1에서는 정서 얼굴 자극이 500 밀리초 동안 제시될 때 부정 정서 자극에 대한 회피 경향이 나타났으며, DDM 분석에서는 정서 자극과 자극-목표의 공간적 일치 여부에 따라 표류율이 달라지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반면, 실험 2에서는 정서 단어 자극에 대해 유의한 정서 편향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비임상 집단에서도 특정 조건에서 정서 편향이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DDM을 활용해 정서 자극이 정보처리 과정의 구체적 단계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밀하게 설명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ublisher
- 한국자료분석학회
- ISSN
- 1229-2354
- DOI
- 10.37727/jkdas.2025.27.3.997
- URI
- https://scholar.gist.ac.kr/handle/local/31506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