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웹 기반 문화재 이미지의 조형 요소 레이블링(Labeling)을 위한 어노테이션(Annotation) 시스템 제안 및 사용성 평가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Design and Usability Test of Web based Annotation System for Labeling of Cultural Heritage Formative Element
Abstract
대용량의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류, 관리하고 다양한 응용에 머신 러닝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데이터전처리 단계로써 충분한 레이블링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레이블링 된 데이터는 이미지 분류, 특징 인식, 축출된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 패턴 예측을 위한 재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문화재 디자인과 조형 요소 데이터는 산업과 시장을 개척하는 잠재력이 있으나 우리나라 전통 유물에 대한 체계적, 정량적 데이터 분류와 관리가 미흡하여 잘 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타분야에서의 레이블링 시스템을 우리 전통 유물 데이터를 레이블링하는 데 사용하기에도 여러가지 기술적 이슈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 유물 중 도자기를 이용하여 형태 분석체계를 확립했고, 이미지 기반 문화유산 데이터의 레이블링 작업을 지원하는 어노테이션 (Annotation)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사용성을 확인하고자 SUS(System Usability Scale) 기반평가를 수행하여 레이블링 시스템으로써의 활용성 및 사용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이 시스템은 편리성과 간편성이 높아 레이블링 단계의 작업 부하를 줄일 뿐만 아니라, 학습성이 높아 전문가 이외의 일반 참여자의 접근성도 높은 시스템임을 확인했다.
Author(s)
Lee, JieunCho, KyungwonKim, MyeongseopKim, WonYeo, DohyeonYi, Ji HyunKim, SeungJun
Issued Date
2019-02-15
Type
Conference Paper
URI
https://scholar.gist.ac.kr/handle/local/23095
Publisher
한국HCI학회
Citation
HCI Korea 2019, pp.470 - 475
Conference Place
KO
제주도
Appears in Collections:
Department of AI Convergence > 2. Conference Paper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