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The (Artificial) Mind Has No Sex?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이 글의 제목은 저명한 여성주의 과학사 학자 론다 쉬빙어(Londa Schiebinger) 교수의 저서 The Mind Has No Sex? (1989)에서 착안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두뇌는 평등하다』(2007)라는 선언적 제목으로 (거의 20년이나 지난 후) 번역 소개되었지만, 물음표를 달고 있는 원제는 “두뇌는 평등하다고?”, 더 정확하게는 “지능은 성별이 없다고?”로 새기는 것이 맞다. 1 17세기 프랑스 철학자 프랑수아 뿔랭 드 라 바르(François Poullain de la Barre)의 애초의 선언, 즉 남녀의 두뇌, 즉 지능에는 차이가 없다는 당시로서는 불경에 가까웠을 여성 ‘옹호’ 에 쉬빙어가 여러모로 의미심장한 물음표를 붙인 것이다. 2 오늘의 논의는 이를 빌어 “인공 지능은 성별이 없다고?”라는 반문으로 시작한다. 발표자의 제한된 이해가 허락하는 한에서, 현재 상당한 수준의 개발과 활용 단계에 와있는 기계학습 기반의 약 인공지능(ANI)과 마인드 업로딩의 젠더 쟁점에 대해 ‘여러모로’ 반문해 보는 것이 오늘 발표의 소박한 목표이다.
Author(s)
Lee, Siyeon
Issued Date
2018-03-10
Type
Conference Paper
URI
https://scholar.gist.ac.kr/handle/local/20000
Publisher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Citation
제1회 전국학술대회 "인공지능 시대, 인간성의 재해석--인공지능 시대의 문화 주체"
Conference Place
KO
중앙대학교 102관 (R&D 센터) 3층 대강당
Appears in Collections:
Schoo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2. Conference Paper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