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Population Dynamics Research using Matrix Projection Model(MPM) of Primula farinosa var. modesta population in Korea

Metadata Downloads
Author(s)
Kim, EunsukJeong, Hyoungsun
Type
Conference Paper
Citation
2019년 한국생태환경과학협의회 정기학술발표대회
Issued Date
2019-02-20
Abstract
전 지구적인 기후 환경의 변화는 식물 생태계에 영향을 주고 있다 (Perry et al., 2007). 특히, 고산지대에 분포하는 식물 개체군들은 온난화로 인한 영향에 민감할 것으로 예측된다 (Oh et al., 2010). 이에 따라 국내 연구 기관에서는 기후 변화로 인해 분포역이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는 식물 종에 대한 보호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의 식물종 모니터링은 종분포 모델(species distribution model, SDM)의 결과를 기초로 하고 있어, 기후 환경과 종 분포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에 제한점이 있다.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고자, 생태학적 모델링에 기반한 투영행렬 모델(matrix population model, MPM)이 제안되었다 (Morris and Doak, 2002).투영행렬 모델을 통해 개체군 성장 속도와 개체군 성장에 대한 생활사 단계의 기여도를 계산하여 효율적인 보존 전략 수립이 가능하다. 외국의 경우, 투영행렬을 이용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진행된 반면, 국내의 경우 연구가 드문 실정이다 (Crouse et., 198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식지가 제한된 식물종을 대상으로 투영행렬 모델을 이용한 개체군 동태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종인 Primula farinosa var. modesta (국명: 설앵초)은 한국 토착종으로, 주로 1000m 이상의 고산지대에 분포하고 있어 기후변화에 취약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를 위해 4곳(천황산, 가야산, 지리산, 한라산)의 P. farinosa 개체군들에 조사구를 설치하여 2016년부터 2018년까지 현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구 내의 개체의 생활사를 조사하고 다음 생활사로의 전이 확률을 계산하여 투영행렬을 작성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설앵초 개체군들의 개체군 성장률(𝛌)과 탄력성 분석을 통해 각 생활사 단계가 개체군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Publisher
한국생태학회, 한국하천호수학회
Conference Place
KO
URI
https://scholar.gist.ac.kr/handle/local/23091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