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ophic contribution of subtidal benthic microalgae to macrobenthic food web in a shallow temperate coastal zone: an isotopic approach
- Author(s)
- 남가은
- Type
- Thesis
- Degree
- Master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공학부
- Advisor
- Kang, Chang-Keun
- Abstract
- The role of subtidal benthic microalgae to the trophic base of benthic food web has been a challenging subject because of difficulties in collecting separately from the surface sediment an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ssessing interactions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In the present study, macroinvertebrates were collected at two respective sites in the shallow subtidal zone off the Tongyeong and Jeju Island coasts and their stable carbon and nitrogen isotope ratios (δ13C and δ15N, as trophic biomarkers) were determined to evaluate the trophic importance of benthic microalgae to benthic food web across the nearshore shallow coastal ecosystems. Suspended particulate organic matter (POM), sedimentary organic matter (SOM), phytoplankton, and benthic microalgae (as potential food sources) as well as zooplankton (as a phytoplankton-reliance measure) were also collected. A permutational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sotope values of potential food sources between two locations. An analysis of variance exhibited that the δ13C values of potential sources were readily distinguishable between benthic microalgae and the other pelagic components (POM and phytoplankton), allowing us to track their nutritional contribution to consumer production. Based on the δ13C and δ15N values of consumers, a self-organizing map and following cluster analysis clearly separated between suspension feeders and deposit feeders in both locations. The δ13C values of predators displayed a broad range, overlapping with those of primary consumers, and their δ15N valu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latter, suggesting that they occupy the higher trophic position. The MixSiAR mixing-model calculations revealed that the contribution of pelagic sources (POM and phytoplankton) was predominant to the suspension-feeding group and benthic microalgae was prevalent to the deposit-feeding group in both the shallow subtidal areas. The contribution of benthic microalgae to the nutrition of predators was estimated to be considerable. Overall, this study demonstrates the merit of stable isotope approach that lays a cornerstone for highlighting the trophic importance of benthic microalgae to shallow subtidal benthic food web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e strength of producer-consumer interactions and trophic pathways.|연안역 조하대 저서먹이망의 영양기저에 대한 저서미세조류의 역할은 퇴적물 표면으로부터 추출 채집의 어려움과 함께 생산자와 소비자 동물군 사이의 상호작용을 정성ˑ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상의 어려움에 기인하여 연구하기 어려운 난제로 여겨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통영과 제주도 연안의 연안 천해 조하대 각각 2개 정점에서 저서 대형 무척추동물을 채집하고 이들 저서생태계 먹이망에 대한 저서미세조류의 기여를 평가하기 위하여 생체지표로써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값(δ13C와 δ15N)을 측정하였다. 잠재 먹이원으로 부유입자유기물질, 퇴적유기물, 식물플랑크톤 및 저서미세조류을 채집하고 비교를 위하여 식물플랑크톤 섭식자로써 동물플랑크톤 시료를 함께 채집하였다. 비모수 다변량 분석(permutational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의 결과는 두 연안역에서 잠재먹이원의 동위원소 비값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밝혔다.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는 먹이원의 탄소안정동위원소 비값(δ13C)이 저서미세조류와 다른 먹이원들과 뚜렷히 구분된다는 것을 나타내어 소비자 동물군 영양에 대한 기여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동물체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값을 기초로 했을 때, 자기조직화 지도분석(self-organizing map, SOM)과 계층적 집괴분석(cluster analysis)는 부유물섭식자 동물군과 퇴적물섭식자 동물군을 잘 구분하여 주었다. 육식동물군의 탄소안정동위원소 비값(δ13C)은 생산자의 값 범위에 상당하는 넓은 범위에 분포하였고, 질소안정동위원소 비값(δ15N)은 생산자에 비하여 동물군들에서 높은 동위원소 비값의 영양단계 효과를 잘 반영하였다. 동위원소 혼합모델(MixSiAR mixing-model) 결과는 표영생산(부유입자물질과 식물프랑크톤)이 부유물섭식자의 주요 먹이원으로 작용하고, 저서미세조류는 퇴적물식자의 중요한 먹이원으로써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육식성동물군에 대한 저서미세조류의 영양 기여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생산자와 소비자동물군의 상호작용의 강도와 영양 경로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천해 조하대 먹이망에 대한 저서미세조류의 영양 기여를 밝힐 수 있는 하나의 초석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안정동위원소 분석의 가치를 입증해 주었다.
- URI
- https://scholar.gist.ac.kr/handle/local/19860
- Fulltext
- http://gist.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883625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