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phnia magna와 Selenastrum capricornutum을 사용한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생물독성평가
- Author(s)
- 나진성; 김기태; 김상돈; 김용석; 장남익
- Type
- Article
- Citation
- 대한환경공학회지, v.26, no.12, pp.1326 - 1333
- Issued Date
- 2004-12
- Abstract
- 국내 하수처리장(wastewater treatment plant) 방류수의 전 방류수 독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에 사용된 시험 종으로는 S. capricornutum과 D. magna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처리장은 국내 방류수 배출허용기준(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총 질소(TN), 총인(TP) 등)을 만족시키며 운영되었다. D. magna를 사용한 전 방류수 독성평가(WET) 결과 78%의 처리장(7/9)에서 급성독성 영향을 나타내었고 22%에 해당하는 처리장(2/9)에서는 평균 독성 값(TU)이 1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들 TU > 1인 두 지점 D와 F의 평균 독성 값은 1.53과 1.2로 각각 나타났다. S. capricornutum을 사용한 독성 평가 결과에서는 모든 지점에서 평균 독성 값(TU)이 1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1.05에서 4.85의 넓은 독성 분포를 나타내었다. 주목할 만 한 점은, I 지점에서의 독성 값이 D. magna의 0.2TU에서 S. capricornutum의 경우 4.85TU로 높게 증가되었다. 전반적으로 방류수의 독성은 D. magna보다 S. capricornutum에 더욱더 민감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론적으로 모든 방류수는 비록 국내 방류수 배출허용기준에 맞게 처리되어 배출된다 하더라도, 수생 생태계에 독성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방류수 배출시설에 대해 생물학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새로운 모니터링 방법이 매우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 Publisher
- 대한환경공학회
- ISSN
- 1225-5025
- URI
- https://scholar.gist.ac.kr/handle/local/18169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